서울시 도시재생을 위한 새로운 재개발 정책, 환경 고려한 주거환경 개선

2024년 03월 30일 by 소코반

    서울시 도시재생을 위한 새로운 재개발 정책, 환경 고려한 주거환경 개선 목차
반응형

서울시 도시재생 재개발 정책

서울시, 재개발 및 재건축 규제 대폭 완화: 용적률 증가 및 사업성 향상

서울시가 새로운 재개발 및 재건축 정책을 발표하여 낙후 지역의 도시환경을 개선하고자 합니다. 이 정책은 주거지역을 세 가지 종류로 구분하여 용적률을 조정하는데 초점을 맞추며, 사업성 보정계수를 도입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부가 용적률을 부여합니다.

 

과거의 일괄적인 정책과는 달리, 이번 변경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세분화된 접근을 통해 토지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또한, 도로폭 및 지하철 역세권의 용도 조정을 통해 재개발 가능 대상을 확대하여 도시 활성화를 촉진하고 주거환경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서울시의 도시재생을 촉진하고 주거환경을 개선하여 도심의 밀집도와 주택 부족 문제에 대응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거지역 종 세분화: 지역 특성에 맞는 용적률 적용

서울시의 새로운 정책은 주거지역을 세 가지 종류로 나누어 용적률을 조절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거 지역은 1~3종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종류에 따라 다른 용적률이 적용됩니다. 이를 통해 각 지역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과거에는 종 세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1기 신도시 개발을 위해 주거지역의 용적률이 높게 책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저층주택의 일조량 및 조망권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공급 부족을 야기했습니다. 이에, 종 세분화 후 각 지역에 맞는 용적률 적용이 시작되었습니다.

 

종 세분화란, 주거지역을 세 가지 종류로 나누어 용적률을 조절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거 지역은 1~3종으로 분류되며, 각 종류에 따라 최대 용적률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이는 지역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여 보다 적절한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사업성 보정계수 도입: 주거지역 환경 고려한 부가 용적률 부여

이번 정책에서는 사업성 보정계수를 도입하여 재개발 및 재건축 사업의 수익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사업성 보정계수는 주거지역의 환경과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부여되며, 친환경 요소, 대지 내 공지 등의 사항을 이행할 경우 추가 용적률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사업성이 부족한 지역에는 추가 용적률을 부여하여 사업성을 확보할 것입니다. 또한, 정비사업을 통해 높은 아파트를 건설할 때 공공에 제공해야 하는 부분을 완화하여 사업성을 향상시킬 것입니다.

 

도로폭 및 역세권 상향 조정: 재개발 가능 대상 확대 및 도시 활성화 촉진

 

이번 정책 변경은 도로 폭 및 지하철역과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재개발 가능한 대상을 넓히는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더 나아가, 역세권의 용도를 상향 조정하여 도시 활성화를 촉진할 것입니다.

 

재개발 가능한 대상은 이번 정책 변경으로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기존에는 폭 4m 이상 도로에만 붙어있어도 양호하다고 보고 재개발을 허용하지 않았으나, 이번 정책에서는 도로 폭 기준을 6m 미만으로 완화하여 재개발 대상을 넓혔습니다. 이제는 도로 폭이 좁은 지역에도 재개발이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지하철역으로부터 350m 내외 역세권은 준주거지역까지 용도를 상향해서 최대 500%까지 용적률을 늘릴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는 도심 지역의 주거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조치로, 역세권의 특성을 고려하여 도시환경의 개선과 주거 환경의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변경은 도시의 재개발 가능한 지역을 확대함으로써 도시재생 및 주거환경의 개선을 이루고, 도시의 밀집도와 주택 부족 문제에 대응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