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심화되는 경영권 분쟁, 이사회 두고 연장전 돌입

2024년 10월 29일 by 소코반

    고려아연 심화되는 경영권 분쟁, 이사회 두고 연장전 돌입 목차
반응형

고려아연 심화되는 경영권 분쟁

 

고려아연의 두 차례에 걸친 주식 공개매수가 종료되었습니다. 현재 양측의 지분율 차이는 단 3%P로, 경영권 장악을 두고 이사회에서 대립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공개매수의 주인공은 고려아연

지난 10월 23일, 고려아연의 경영권을 두고 벌어진 공개매수전이 일단락되었습니다.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과 영풍·MBK파트너스(MBK) 연합이 고려아연 주식의 과반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 끝에 마무리된 것입니다.

 

공개매수가 뭐야?

기업의 경영권을 얻거나 강화하기 위해 증권시장 외부에서 공개적으로 주식을 매입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주식을 매입하려는 자는 매입 기간, 수량, 가격 등을 공개하고, 통상적으로 시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주식을 매수합니다. 이는 기존 주주들이 주식을 팔도록 유인하기 위해서입니다.

 

MBK 연합, 선방했다

먼저 공개매수에 나선 것은 MBK 연합이었습니다. 지난 10월 14일 종료된 공개매수 이후, MBK 연합은 5.34%의 지분을 추가 확보하며 총 38.47%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반면, 최 회장과 우호 지분은 **33.99%**로 MBK 연합에 밀리는 상황입니다.

 

고려아연, 자사주 공개매수로 대응

최 회장 측도 이에 맞서 자사주 공개매수를 단행했습니다. 지난 10월 23일까지 진행된 공개매수에서 고려아연은 자사주 9.85%를 확보했으며, 최 회장의 우군인 사모펀드 베인캐피털은 1.41%의 지분을 추가했습니다. 하지만 자사주는 의결권이 없기 때문에 최 회장 측의 지분율은 33.99%에서 35.4%로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 국민연금이 7.83%, 기타 투자자가 21.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치열했던 공개매수, 누가 이겼어?

양측 모두 공개매수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했지만, 확실한 과반을 확보한 측은 없습니다. 두 차례의 공개매수 결과, 최 회장 측의 지분율은 35.4%, MBK 연합은 38.47%로, 두 지분율의 격차는 3%P에 불과합니다.

 

고려아연의 큰 그림

사실 고려아연은 이번 공개매수에서 약 20%의 자사주를 매수하려 했습니다. 최 회장의 우군인 베인캐피털이 2.5%, 고려아연이 17.5%의 자사주를 사려는 계획이었으나, MBK 연합이 먼저 5.34%의 지분을 확보하면서 시중의 유통 주식 물량이 크게 줄어 계획에 차질이 발생했습니다.

 

급등한 고려아연의 주가

공개매수 종료 후, 10월 25일 고려아연의 주가는 장중 29.17%까지 급등했습니다. 경영권 분쟁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이며, 주식 유통 물량의 감소와 더불어 최 회장 측과 MBK 연합의 장내매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이사회로 연장전 가나?

끝나지 않은 싸움

고려아연의 자사주 9.85% 소각 계획이 또 하나의 이슈입니다. 자사주 소각이 이루어지면 전체 주식 수가 감소하게 되어, 양측의 지분율이 모두 40%대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장내매수전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사회를 두고 대립

MBK 연합은 공개매수가 종료된 후, 10월 28일 고려아연에 임시 주주총회 소집을 청구했습니다. MBK 연합은 "기존 이사회 체제는 수명을 다했다"며, 사외이사 12명과 기타 비상무이사 2명신규 이사 후보로 추천했습니다.

 

MBK 연합의 계획은 뭐야?

현재 고려아연 이사회에는 총 13명의 이사가 있으며, 이 중 12명이 최 회장 측 인사입니다. MBK 연합은 임시 주주총회에서 MBK 측 인사 14명을 이사로 선임해, 총 27명의 이사회 과반수를 장악하여 최 회장 측의 경영권 행사를 제한하려는 전략을 구상 중입니다.

 

국민연금의 선택은 누구일까?

국민연금은 7.83%의 고려아연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이 어느 쪽의 손을 들어주느냐에 따라 주주총회의 판세가 기울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국민연금의 선택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