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금 계산하는 방법

2021년 09월 28일 by 소코반

    배당금 계산하는 방법 목차
반응형

회사는 이윤이 발생하면 회사를 확장하고 새로운 장비를 추가하는 등 회사 자체에 재투자(유보이익)하거나 투자자들에게 나눠 주기도 하는데 이를 흔히 "배당금"이라고 한다. 자신이 받을 배당금이 궁금하다면 배당금액(DPS)을 자신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수만큼 곱하면 된다.

 

배당 금액(DPS)에서 총 배당금 계산하기

 

1. 내가 보유한 주식 수량을 알고있어야 한다.

본인이 투자한 회사의 주식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모르고 있다면 잘못된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이다. 주기적으로 브로커나 투자 에이전시에게 연락을 하거나 회사 투자자들에게 주기적으로 발송되는 우편 또는 이메일로 내역서를 통해 알 수 있다.

 

2. 회사 주식의 배당금액(DPS)이 얼마인가?

회사의 배당금액(DPS)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보자. 이는 회사의 주식 한 주당 투자자들이 갖게 되는 배당금을 뜻한다. 일정 기간 동안, 배당금액(DPS)은 DPS=(D-SD)/S 공식으로 계산 할 수 있다. D는 주기적으로 지급되는 배당금의 액수이며 SD는 특별한 경우 일회성으로 지급되는 배당금의 액수다. S는 투자자가 보유한 주식 수를 뜻한다. 

  •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 D나 SD는 회사의 현금수지계산서에서 찾아볼 수 있고, S는 대차대조표에서 찾아볼 수 있다.
  • 회사의 배당 성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미래에 받을 배당 가치에 대해서 과거 배당 가치로 계산 한다면 계산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3. 배당금액(DPS)을 주식 수로 곱하자.

내가 투자한 회사의 주식을 몇 주나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회사의 가장 최근 지급한 배당금액(DPS)를 알고 있다면 지급 받게 될 배당금을 계산하는 것은 쉽니다. D=DPS x S 공식을 사용해서 D는 지급 받게 될 배당금, S는 주식 수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는 회사의 과거 배당금액(DPS)을 사용해서 계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래 배당금에 대한 예측은 실제로 받게 될 배당금과는 약간 다를 수 있다.

  • 예를 들어보면 작년에 한 주당 1,431원을 배당금액으로 지급했던 회사의 경우 1,000주를 보유하고있다고 가정할 때 위 공식을 대입해보면 D=1,431 에서 1,000을 곱해보면 1,431,000원이다. 즉, 이 회사가 작년과 동일하게 배당금을 지급한다면 지급 받게 될 배당금은 1,431,000원이라는 뜻이다.

 

4. 배당금을 재투자 하는 것을 잊지마라

보통 보유 중인 주식의 수를 늘리기 위해 투자자들은 주로 배당 재투자를 하고 있다. 배당금을 회사의 주식을 더 많이 구매하고 장기적으로 이득을 취하기 위해 현재의 배당금은 포기하는 것이다. 배당 재투자 프로그램에 등록 되어 있다면 보유하고 있는 주식 수를 계속 업데이트 하면서 정확하게 계산 할 수 있도록 하자.

  • 예를 들어 투자를 통해 1년에 $100를 배당금으로 벌고, 이 돈을 매년 주식수량을 늘리기 위해 재투자 하도록 계획을 세웠다고 가정해보면 주식 한 주당 $10에 거래가 되고 있고 배당금액(DPS)이 매년 $1라면, $100을 쓰는 것은 10주를 더 매수할수 있게 해준다.

    이에따라 매년 배당지급 긍액은 높아져 가고 다음해에는 $110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복리 효과는 주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거나 오른다는 가정하에 내버려 두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배당금 투자 전략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반응형